국내 정출연 실장 ‘직장에서 몰래 가상화폐 채굴 서버 운영’

국내 식품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한국식품연구원 실장이 직장에서 가상화폐 채굴 서버를 제작해 운영한 혐의를 받았다.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익명의 한국식품연구원 실장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TS)에서 실시한 감사 과정에서 이같은 행위를 수행한 사실이 발각되었다.
감사보고서, ‘빼돌린 GPU로 코인 채굴 서버 제작’
NST 조사관은 해당 직원이 연구원의 “실장”이며 회사에서 12대의 GPU를 빼돌렸다고 보고했다.
이후 그는 훔친 GPU로 “가상화폐 채굴 서버”를 만들었다. 그가 정확이 어느 암호화폐를 채굴했는지는 NST에서 공개하지 않았다.
NST는 사건을 전라북도 완주 경찰서에 넘겼다. 완주 경찰서는 그를 업무상 배임 및 절도 등의 혐의로 입건했다.
조사관들은 그가 코로나 팬데믹으로 출입이 금지된 홍보실 내에 채굴 공간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A 실장은 연구원 예산으로 에어컨 등 채굴 장비를 구매했으며 별도의 전기공사도 실시했다.
NST 감사위원회는 A 실장이 부품을 빼돌려 2022년 4월부터 채굴을 시작해 2023년 9월에 발각될 때까지 운영했다고 밝혔다.

감사보고서: VPN으로 방화벽 우회
A 실장의 머리 굴리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한국식품연구원은 많은 정부 관련 기관처럼 가상화폐 채굴 및 코인 지갑 관련 소프트웨어와 웹사이트 접속을 차단한다.
그는 VPN을 통해 연구원의 방화벽을 우회했다. 게다가 동료 직원 계정을 도용해 가상화폐 채굴용 GPU를 구매했다.
연구원은 내부 물품 수량 조사 중 일부 GPU가 사라진 사실을 확인하며 무언가 잘못되었다고 의심하기 시작했다. 다른 조사 결과 인가받지 않은 외부망이 시스템에 연결되었다는 점이 드러났다.
NST 감사 위원회는 A 실장이 약 “786만원의 손해”를 유발했다고 추정했다. 위원회는 이를 회수하고 A 실장을 해임할 것을 요구했다. A 실장이 “근태 기록을 부정으로 등록하고 사문서를 위조”했다고도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감사위원회는 한국식품연구원에 “네트워크 운영 상태를 재점검해 보안을 강화할 것”을 요구했다.
2021년에는 예술의전당 지하에서 이더 채굴을 시도한 직원이 적발되기도 했다.
함께 읽을 만한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