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찰, 암호화폐 악용해 마약 유통·투약한 312명 무더기 검거
광고 공개 정책
크립토뉴스는 소중한 독자에게 완전한 투명성을 약속합니다. 일부 콘텐츠에는 제휴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크립토뉴스는 이러한 파트너십을 통해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 경찰은 암호화폐를 악용한 마약 밀매 단속을 강화하고 있으며 전방위적 마약 단속에서 312명을 체포했다.
KBS에 의하면 이번 단속은 서울지방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가 진행했다.
용의자들은 마약류관리법 위반으로 기소되었다.
경찰은 용의자들이 다크웹을 악용해 마약을 매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들은 텔레그램과 같은 해외 채팅 앱을 활용해 비트코인(BTC) 등 암호자산을 악용해 거래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경찰은 이번 단속 대상 중 최소 6명의 “대규모” 마약상 혐의자를 포함한다고 말했다.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20대 남성도 포함됐다.
마약 매매 용의자들은 해외에서 마약을 국내로 밀반입했거나 한국 밀수업자들로부터 구입한 것으로 보인다.
경찰관들은 용의자들이 2020년 12월부터 2023년 3월까지 활동했다고 주장한다.
경찰은 위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가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합법적인 상품을 판매하다 다크웹 마약 판매에까지 손을 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용의자들은 집에서 마리화나를 재배한 후 온라인이나 이웃에게 판매한 범죄로 기소되었다
경찰은 핵심 판매자로 의심되는 6명 중 1명만이 이전에 마약 관련 유죄 판결을 받았다고 밝혔다.
한국 경찰, 암호화폐 악용 마약 매매 단속
경찰관들은 대부분의 마약 유통범들이 마약을 유통하고 구입하기 위해 “데드 드롭” 방법을 사용했다고 말했다.
구매자들은 BTC와 알트코인을 사용하여 선불로 결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판매자들은 아파트 입구와 같은 공공 장소에 마약 봉지를 숨겨두었다.
이후 마약 판매자들은 텔레그램을 통해 구매자들에게 연락하여 어디에서 마약을 수령해야 하는지 알려주었다.
그러나 용의자 중 일부는 암호화폐 악용 마약 거래에 직접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에는 면허를 받은 대마 농장 운영자에게 아픈 아이 치료를 도와달라며 접근한 것으로 알려진 40대 직장인도 포함됐다.
농장 운영자는 이 이야기를 믿고 해당 직장인을 불쌍히 여겼다.
경찰은 나중에 이 직장인이 거짓말을 했으며 기부된 대마초를 무료로 피워온 것으로 파악했다.
경찰 대변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마약 유통이 확산되면서 마약 판매자와 구매자 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경찰은 암호화폐를 악용하는 마약 유통 네트워크를 파악하기 위한 블록체인 분석 소프트웨어에 막대한 투자를 했다.
경찰청 마약 전담반은 지난해 마약을 매매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사용한 혐의로 533명을 입건했다.
그러나 암호화폐를 악용하는 마약 범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암호화폐를 악용해 필로폰을 구입한 혐의로 14세 소녀가 체포되기도 했다.
그리고 4월에는 암호화폐를 악용해 MDMA(엑스터시)와 케타민을 거래한 혐의로 10대들이 수감됐다.
함께 읽을 만한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