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록, 기록적인 10만 달러 가격 속에서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위해 비트코인 지지

11조 5천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하는 세계 최고의 자산 운용사인 블랙록은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위해 적당한 비트코인(BTC) 투자를 제안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블랙록 투자 연구소는 12월 12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최대 2%의 비트코인 비중은 다중 자산 포트폴리오에 적합한 “합리적인 범위”라고 밝혔다.
블랙록의 분석에 따르면 일반적인 주식과 채권 포트폴리오에서 비트코인 비중이 1~2%일 경우 “매그니피센트 세븐” 기술주 보유와 유사한 위험 프로필을 가질 수 있다고 한다.
이 백서는 또한 비트코인의 변동성을 인정하면서도 분산 투자의 잠재적 이점을 인정하는 “위험 예산” 접근법을 강조했다.
“비트코인은 다른 자산과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변동성이 더 크기 때문에 전체 위험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으로 비슷하다.”라고 저자들은 썼다. “비트코인 배분은 다양한 위험 소스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매그니피센트 7’에 대한 비중 확대는 기존 위험과 포트폴리오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비트코인의 기록 경신에 따른 블랙록의 대규모 투자
비트코인이 전 세계적으로 주류 채택 증가와 우호적인 규제 개발에 힘입어 10만 달러 이상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블랙록의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2011년 이후 비트코인은 20,000,000% 상승하여 541% 상승한 나스닥 100 지수의 상승률을 뛰어넘었다.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282% 상승한 미국 주요 주가지수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비트코인의 연간 수익률도 230%로 다른 모든 자산군을 훨씬 앞서고 있다. 이는 2위인 나스닥 100 지수보다 10배나 높은 수익률이다. 같은 기간 동안 미국 대형 주식은 연간 14%, 하이일드 채권은 5.4%, 금은 1.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비트코인 가격 상승은 1월에 미국 현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출시되었기 때문이다. 12월 11일 현재, 이 ETF는 출시 이후 1,13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유치했다. 소소밸류 데이터에 따르면 11월 5일 트럼프의 대선 승리 이후 투자자들은 100억 달러에 가까운 자금을 쏟아 부었다.
블랙록의 현물 비트코인 ETF인 IBIT가 350억 달러 이상의 누적 순유입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아캄 인텔리전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블랙록은 11월 23일 비트코인에 20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현재 484억 달러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다른 모든 ETF의 투자금을 합친 것보다 훨씬 많은 금액으로, 당일 총 7,100만 달러에 불과하다.
비트코인 대량 채택의 잠재적 단점
그러나 블랙록은 기관 채택이 확대되면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완화되어 급격한 가격 상승 가능성이 완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앞으로 비트코인이 실제로 폭넓게 채택된다면 잠재적으로 위험성이 줄어들 수 있지만, 그 시점에서는 더 이상 상당한 규모의 가격 상승을 위한 구조적 촉매제가 없을 수도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9월에 블랙록은 비트코인을 “독특한 분산투자 수단”이라고 부르며 단기적인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전통 자산과의 낮은 장기 상관관계를 강조했다.
비트코인의 희소성, 탈중앙화 특성, 글로벌 접근성을 지정학적 및 통화적 위험에 대한 헤지 가능성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