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4150만달러 탈취된 업비트 해킹 배후세력은 북한
광고 공개 정책
크립토뉴스는 소중한 독자에게 완전한 투명성을 약속합니다. 일부 콘텐츠에는 제휴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크립토뉴스는 이러한 파트너십을 통해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한국 정부는 2019년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해킹해 당시 342,000 ETH(4,150만 달러 상당)이 탈취된 사건의 배후로 북한을 지목했다.
탈취된 자금은 현재 1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되며, 이는 북한과 연관된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탈취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됐다. 한국 경찰청은 어제(21일) 이를 발표했다.
“조사를 통해 확보한 증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고 경찰은 성명을 통해 밝혔다.
IP 주소 및 자산 흐름 패턴 분석
수사관들은 IP 주소, 가상자산의 흐름 패턴, 그리고 북한 특유의 용어를 분석해 이 범죄를 북한의 소행으로 결론지었다.
이 결론은 미국 연방 수사국(FBI)과 함께 수집한 증거를 기반으로 한다. 한국이 암호화폐 탈취 사건을 북한과 직접적으로 연관지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커들은 탈취된 이더리움의 약 57%를 비트코인으로 전환하며 세 곳의 거래소를 통해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세탁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은 자금은 해외 플랫폼 51곳을 통해 이동됐다.
스위스 당국과 협력한 결과, 스위스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4.8 BTC를 회수할 수 있었다.
FBI는 오랜 기간 북한의 사이버 범죄 활동을 주시해왔으며, 과거에도 북한이 하모니 호라이즌 브릿지(Harmony Horizon Bridge) 해킹으로 1억 달러, 로닌 브릿지(Ronin Bridge) 해킹으로 6억 달러를 탈취했다고 밝혔다.
올해 초 FBI는 북한이 웹3 산업 종사자들을 겨냥해 취약점을 악용하고 가상자산을 탈취하는 공격을 강화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달, 한국 외교부는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에 대응하기 위해 ASEAN 회원국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과 워싱턴은 북한이 정부 훈련을 받은 해커들을 동원해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및 기타 토큰을 탈취하고 있다고 수차례 주장해왔다.
여러 대형 IT 기업과 블록체인 분석 업체들도 이에 동의하며, 라자루스(Lazarus)와 같은 북한 연계 조직을 범죄 조직으로 지목했다.
한국 청년들, 암호화폐 선호
최근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한국 청년들은 국민연금 제도에 대한 신뢰를 잃고 있으며 암호화폐와 주식을 대안으로 보고 있다.
조사 결과, 20~39세 응답자의 4분의 3 이상이 “국민연금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스스로 노후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 절반 이상이 주식과 암호화폐를 통해 노후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흥미롭게도 일부 정치인들도 암호화폐를 지지하고 있으며, 자산 공개를 분석한 연합뉴스 보고서에 따르면 약 7%의 후보가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암호화폐 과세를 2025년 1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이전의 여러 연기 끝에 내려진 결정이다.
당초 2022년 1월에 시행될 예정이었던 암호화폐 수익에 대한 20% 세금(지방세 포함 22%)은 투자자와 업계 전문가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두 차례 연기된 바 있다.
최근 논의에서도 추가 연기가 제시됐으며 2028년까지 시행을 늦추자는 의견도 제시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