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대출한 농협 직원 “전액 손실 상태”

한국 NH농협은행의 김모 과장이 회사 자금을 횡령해 암호화폐를 구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전액 손실 상태”라고 주장했다.
JTBC의 보도에 따르면 농협은행은 김씨가 총 1,250만 달러(한화 약 169억 원) 상당의 대출금을 횡령했다고 보고 있다.
농협은행 직원, 대출 자금 횡령해 암호화폐에 투자
올해 8월 진행된 감사에서 농협은행은 대출 과정에서의 불규칙한 정황이 포착됐다. 보도에 따르면 김씨는 2020년 6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총 106차례에 걸쳐 자금을 빼돌린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JTBC는 서울의 한 영업점에서 발생한 의심스러운 대출 흐름을 다룬 농협은행 내부 감사 보고서를 입수했다고 전했다.
내부 감사는 약 730만 달러(한화 약 99억 원) 상당의 대출이 존재하지 않는 부동산을 담보로 하여 진행된 정황을 발견했다.
김씨는 지인 등 다른 사람의 명의를 빌려 대출을 받은 뒤 존재하지 않는 부동산을 담보로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씨는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존재하지 않은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다. 가상화폐에 투자했지만 전액 손실 상태라 갖고 있는 돈이 없다.”

JTBC는 김씨가 서류를 위조해 대출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농협은행은 총 1,250만 달러 중 880만 달러(한화 약 119억 원)가 불법 대출 방식으로 횡령되었음을 이미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은행은 조사가 여전히 진행 중이며, “다른 직원들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제 부분은 저희가 다 개선을 할 거고. 재발하지 않도록 계속 시스템 개선을···
농협은행 대변인
암호화폐에 관심 많은 은행 직원들
JTBC는 10년 전 농협은행이 ‘순회감사자’를 도입해 지점에 대한 불시 감사를 시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JTBC는 369명의 순회감사자 모두가 농협은행 퇴직자라는 점을 지적했다.
금융사고가 계속 터지고 있는데 내부통제 시스템을 잘 갖출 수 있도록 국회에서 세심히 살펴보겠습니다.
국회의원 강준현
우리은행 역시 올해 초 비슷한 사건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의 김해 지점에 근무했던 전 대출 관리자가 은행 자금을 암호화폐 구매에 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 6월, 이 직원은 약 730만 달러(한화 약 99억 원)를 은행에서 횡령해 대부분 암호화폐 투자에 사용했다고 자백했다.
이 남성은 대부분의 암호화폐 투자가 “실패로 끝났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