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은 현금없는 사회의 취약성에 대한 “금융 생명선”

주요 내용:
- 비탈릭 부테린이 위기 상황에서 이더리움이 중앙화된 디지털 결제 시스템에 대한 회복력 강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최근 현금 보관을 장려하는 스웨덴 정부의 움직임은 현금없는 사회의 취약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고 시사했다.
- 부테린은 이더리움의 프라이버시, 오프라인 사용성, 노드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더리움 공동창업자 비탈릭 부테린이 중앙화된 디지털 결제 시스템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스웨덴이 현금없는 사회에서 한 발 후퇴하는 움직임을 보인 사례를 언급했다.
부테린은 이더리움이 위기 상황에서 탈중앙화된 백업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스웨덴은 한때 디지털 결제 기반의 현금 없는 사회를 추진하는 모범 국가로 간주되었지만, 가디언지 3월 16일 기사에 따르면 최근 스웨덴 정부가 시민들에게 물리적 현금 보유를 권장하고 있다.
사이버 공격, 국가 보안 등 위기 상황 대비해 현금 보유 권장하는 스웨덴 정부
스웨덴은 정부 발행 안내문에서 시민들에게 국가 비상 사태 혹은 전쟁 시를 대비해 일주일치 현금을 보유할 것을 권고했다.
이번 움직임은 사이버 공격 위협 및 디지털 결제 시스템의 취약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했다고 보여주었다.
부테린은 해당 기사를 참조하며 “노르웨이는 현금 없는 사회에서 한 발 물러서고 있으며, 이는 중앙화된 결제 시스템이 너무 취약하기 때문이다. 현금이 필수적 백업 수단이라는 점이 자명해졌다.”라고 말했다.
현재 스웨덴 금융 거래의 10%만이 현금을 이용하고 있지만, 정부는 최근 들어 중앙화된 디지털 결제 인프라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을 재고하고 있다.
부테린은 이러한 상황이 이더리움 같은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이 나설 틈새가 될 수 있다며 단지 대안이 아닌 더 회복력과 프라이버시가 강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더리움이 이 역할을 수행하려면 먼저 신뢰성 및 프라이버시읜 높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부테린은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오프라인 거래를 위해서는 영지식 증명 기반 기술의 발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현재의 솔루션은 아직 신뢰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집행 메커니즘에 의존해 이중지불을 방지하고 있다고 부족하다고 경고했다. 그는 “노하우는 있지만 극악의 조건 하에서 신뢰없는 거래를 처리할 수 있으려면 아직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부테린 이더리움 노드 접근성 높일 업그레이드 제안
지난주 부테린은 개인 이용자도 이더리움 노드를 운영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제안을 공개했다. 이더리움 노드 운영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스토리지 요건을 대폭 줄이는 방안이다.
그는 노드가 데이터를 보관하고 추출하는 방식을 바꾸어 완전히 데이터를 복제해 저장하는 방식에서 이용자와 관련 있는 데이터만 보관하는 유연한 이용자 중심 모델로 바꿀 것으로 제안했다.
이더스캔 데이터에 의하면 현재 이더리움의 전체 데이터를 보관하려면 1.3 테라바이트 이상이 필요하다.
부테린은 이에 관해 “현재 노드 운영 비용이 비현실적으로 높다”라고 지적하며 최적화 개선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노드를 운영하려면 특수 하드웨어나 클라우드 지원이 필요해 대부분의 이용자가 접근하지 못할 것이라고 보았다.
지난 4월 이더리움 전 핵심 개발자 에릭 코너(Eric Connor)는 “이더리움이 대중화되는 가장 극적인 순간”은 AI와 통합이 이루어지는 시점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AI 분야가 중앙화, 불투명한 알고리즘, 개인정보보호 문제를 겪고 있다면서 “AI는 블랙박스 모델(내부 의사결정 과정이 불투명한 모델), 중앙화된 데이터 사일로, 개인정보보호 위험성으로 점철되어 있다”라고 표현했다. 또한 이더리움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유한 위치에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