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신중함에 산업 성장 저해할까 우려
크립토뉴스는 독자 여러분과 투명하게 소통하고자 합니다. 크립토뉴스 콘텐츠 중 일부는 제휴 링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휴를 통해 커미션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당사의 분석, 의견, 리뷰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크립토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당사가 확립한 원칙에 따라 마케팅 파트너십과는 독립적으로 제작됩니다. 더 보기

홍콩 정부가 세계적 암호화폐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홍콩의 신중한 규제적 접근 방식이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자산 부문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최근 인터뷰에서 홍콩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회사인 퍼스트 디지털 트러스트(First Digital Trust)는 업계 발전에 비해 규제 발전 속도가 느린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보다 신속한 진보에 대한 필요성을 주장했다.
현재 홍콩에는 정식 라이선스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인 해시 블록체인과 OSL 디지털 증권 두 곳만 운영되고 있다.
홍콩 내 암호화폐 거래소들, 승인만 기다린다
홍콩 내 여러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여전히 라이선스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며, 이는 암호화페 업계 규제에 대한 홍콩의 신중한 접근 방식을 반영한다.
퍼스트 디지털의 CEO인 빈센트 촉(Vincent Chok)은 홍콩이 신속한 규제 조치보다 투자자 보호를 우선시한다고 말하며 홍콩의 신중함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투자자 보호에 중점을 둔 홍콩의 규제적 접근 방식이 다른 정부에 비해 보수적이고 느릴 수 있다.”고 말했다.
“홍콩이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에 뒤처지지 않도록 보다 빠른 규제적 움직임을 바란다.”
홍콩은 가상자산 분야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6월 1일부로 무허가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VATP) 운영을 형사 범죄로 규정했다.
홍콩 증권 선물 위원회(SFC) 또한 홍콩 투자자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의심 대상 무허가 거래 플랫폼들의 사명을 나열한 ‘경고 목록’을 발표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소비자를 보호하면서 시장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한편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적 진전이 있었다.
홍콩 재무국고부(FSTB)와 금융관리국(HKMA)은 최근 현지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후 JD 테크놀로지 그룹의 자회사인 징동 코인링크 테크놀로지 홍콩 리미티드는 샌드박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홍콩 달러(HKD)와 1:1로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홍콩, 더욱 치열해지는 경쟁 직면
그러나 홍콩은 스테이블코인 부문에서 약진하고 있는 두바이 등 과의 경쟁에 직면해 있다.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제공업체인 테더는 아랍에미리트에 본사를 둔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아랍에미리트 디르함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부 기업은 이미 두바이에서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아랍에미리트연합은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비트코인·이더리움 커스터디 서비스를 승인했다.
보도에 따르면 홍콩은 첫 암호화폐 ETF를 출시하여 미국 내 비트코인 상품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
중국 자산 관리운용사(China Asset Management)의 홍콩 사업부인 하베스트 글로벌 인베스트먼트는 해시키 캐피털·보세라 자산 관리운용사와의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공동으로 지난 화요일(10일) 중국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 상품을 출시했다.






